금융정보

부동산 취득세 개요 및 절세방법

jmobile 2025. 3. 17. 10:44
반응형

취득세 개요

취득세는 부동산, 차량, 선박 등을 취득할 때 납부하는 지방세입니다. 부동산 거래에서 가장 중요한 세금 중 하나이며, 취득 방식(매매, 상속, 증여 등)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.


1. 부동산 취득세율 (2024년 기준)

**주택(아파트, 단독주택 등)**의 경우, 취득가액 및 보유 주택 수에 따라 세율이 다릅니다.

① 1주택 보유 시 (비조정지역 및 조정대상지역 공통)

주택 가격
세율
6억 원 이하
1.1%
6억 원 초과 ~ 9억 원 이하
1.3%
9억 원 초과
3.5%

📌 예시)

  • 5억 원 아파트 취득 시: 5억 × 1.1% = 550만 원
  • 10억 원 아파트 취득 시: 10억 × 3.5% = 3,500만 원

② 다주택자 취득세율 (조정대상지역 기준)

보유 주택 수
세율 (조정대상지역)
2주택
8%
3주택
12%
4주택 이상
12%

📌 예시)

  • 2주택자가 5억 원짜리 아파트를 추가로 매입하면?
  • 5억 × 8% = 4,000만 원 취득세 납부

③ 상속·증여 취득세율

취득 방식
세율
상속 (공시가격 5억 이하)
0.8%
상속 (공시가격 5억 초과)
2.3%
증여 (가족 간 증여)
3.5%

📌 예시)

  • 부모가 자녀에게 3억 원 주택 증여 시: 3억 × 3.5% = 1,050만 원

2. 취득세 납부 기한

부동산 취득 후 60일 이내 신고 및 납부

상속의 경우 6개월 이내 신고 및 납부

✅ 미납 시 가산세 부과

📌 납부 방법: 위택스(지방세 납부 사이트) 또는 관할 시·군·구청 방문


3. 취득세 감면 대상

생애 최초 주택 구입 (취득가액 12억 원 이하)

신혼부부 및 다자녀 가구

장애인, 국가유공자

농어촌 지역 거주자


4. 취득세 절세 TIP

생애 최초 주택 구입 혜택 활용

부부 공동명의 활용 (일부 경우 취득세 감면 가능)

미리 세율 확인 후 주택 매입 전략 수립

💡 부동산 계약 전 취득세를 정확히 계산하여 예상 비용을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! 😊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