금융정보

보이스피싱 예방 및 피하는 방법

jmobile 2025. 3. 19. 08:00
반응형

📢 보이스피싱 예방 및 피하는 방법

보이스피싱(전화금융사기)은 주로 금융기관, 공공기관, 가족, 지인을 사칭하여 돈을 요구하거나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범죄입니다. 피해를 막기 위해 아래 방법을 꼭 숙지하세요!


✅ 보이스피싱 유형 및 예방법

1️⃣ 정부·공공기관 사칭형

📌 "국세청입니다. 세금 환급을 위해 계좌번호를 입력하세요."

📌 "검찰·경찰입니다. 개인정보가 유출되었습니다. 계좌를 안전하게 보호해 드리겠습니다."

🚨 예방 방법

어떤 기관도 전화로 계좌번호나 비밀번호를 요구하지 않음

의심되면 직접 해당 기관 공식 전화번호(국번 없이 110)로 확인

절대 앱 설치 요구에 응하지 않기 (악성 앱 가능성 높음)


2️⃣ 금융기관 사칭형

📌 "고객님은 대출 한도가 초과되었습니다. 추가 대출을 위해 보증금을 송금하세요."

📌 "저금리 대출 전환을 위해 기존 대출금을 상환해야 합니다."

🚨 예방 방법

은행, 카드사에서 전화로 비밀번호나 보증금을 요구하는 경우 없음

대출은 반드시 공식 금융기관을 통해 직접 신청

카카오톡, 문자 등으로 보내는 대출 광고는 무조건 의심


3️⃣ 가족·지인 사칭형 (메신저 피싱 포함)

📌 "엄마, 나 휴대폰이 고장 나서 다른 번호야. 급하게 돈이 필요해."

📌 "친구인데 급하게 돈 좀 보내줄 수 있어?"

🚨 예방 방법

돈을 요구하면 반드시 기존 연락처로 직접 확인 전화하기

메신저 프로필 사진이 같아도 신뢰하지 말고 영상통화 요청하기

가족·지인 명의의 계좌로 송금 요청해도 반드시 본인 확인 후 진행


4️⃣ 기관·기업 직원 사칭형 (택배·통신사 등)

📌 "택배 배송 오류로 인해 추가 요금이 필요합니다."

📌 "통신사 고객센터입니다. 미납 요금이 있어 결제하지 않으면 서비스가 중단됩니다."

🚨 예방 방법

택배사나 통신사는 전화로 계좌이체를 요구하지 않음

해당 업체 공식 홈페이지나 고객센터에 직접 확인

출처 불명의 문자나 이메일에 있는 링크 클릭 금지


📌 보이스피싱 예방법 총정리

✅ 1. 모르는 번호, 의심스러운 전화는 받지 않기!

  •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은 절대 전화로 개인정보를 요구하지 않음
  • 출처 불명의 문자, 카톡, 이메일 링크는 절대 클릭 금지

✅ 2. "돈 보내라"는 요청은 무조건 의심하기!

  • 가족·친구라도 기존 전화번호로 직접 확인 후 송금
  • 저금리 대출, 세금 환급, 미납 요금 등 돈 관련 내용이면 더욱 의심

✅ 3. 경찰청·금융감독원에서 절대 개인 계좌를 보호하지 않음!

  • "당신 계좌가 범죄에 연루되었으니 안전 계좌로 이체하라" → 100% 사기
  • 검찰·경찰·금융감독원은 계좌이체 요구 절대 ❌

✅ 4. 스마트폰 보안 설정 강화하기

  • 스미싱 예방을 위해 출처 불명의 앱 설치 금지
  • 백신 프로그램 설치 및 정기 점검 필수
  •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스팸·보이스피싱 차단 서비스 이용

✅ 5. 보이스피싱 신고 및 대처 방법

📞 경찰청 (112) → 보이스피싱 신고

📞 금융감독원 (1332) → 피해 금액 지급정지 요청

📞 한국인터넷진흥원 (118) → 악성 앱 신고


🚨 혹시라도 돈을 보냈다면?

1️⃣ 즉시 해당 은행 고객센터에 전화해 "지급정지" 요청

2️⃣ 경찰청(112)에 신고하고, 피해 신고 접수

3️⃣ 금융감독원(1332)에 연락해 피해 구제 요청

4️⃣ 관련 계좌 및 개인정보 변경 진행

반응형

'금융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퇴직금 소득세 계산 방법  (0) 2025.03.20
신용점수 올리는 방법  (0) 2025.03.19
버팀목 전세자금 대출  (0) 2025.03.18
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정리  (1) 2025.03.18
해외주식투자 세금 줄이는 방법  (0) 2025.03.18